건축 23

[창호] PL 창호 설계

PVC 재질의 창호 적용시 고려사항 1. 창호의 열리는 방향은 내부 방향으로만 열림. → 실내측 창가변의 인테리어와의 간섭 문제 → 실내측 커튼 사용시 간섭 문제 등이 발생함으로 이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함. 2. 열리는 창호의 너비는 800mm이하를 권장 → '턴'방식의 개폐창 설치시 처짐발생에 대한 우려가 있음. 3. '프로젝트' 방식 창호 적용시 최소 높이는 640mm이상이어야 함. → 기존 기성재의 하드웨어 사용을 우선시 함으로, 이를 적용할 수 있는 창호의 크기가 고려되어야 함.

건축/실무 2013.09.26

[협업] 배연창 협의시 필요한 도서목록

배연창 협의시 필요한 도서 목록 1. 방화구획도 (면적 확인용) 2. 창호 일람표 3. 창호 평면도 4. 입면도 5. 입단면 상세도 ( 배연창 설치 위치 확인용) 배연창 계획시 고려사항 1. 추후 사용시 처짐등의 하자 방지를 위하여 창호의 크기는 너비 800mm 높이 1,500mm이하를 권장 2. 가급적 '턴' 방식이 아닌 '프로젝트' 방식을 권장 (처짐 방지) 3. 유효면적은 '피벗' 창이 최대 효율 4. 배연창과 완강기 창은 겸용 불가 (배연창 체인으로 피난시 지장이 있음)

건축/실무 2013.09.25

[도면 오류] 1. 토목 포스트 파일과 구조보의 간섭 확인

앞으로 이곳에 그간 설계 과정에 있어 도면상 오류가 있었던 내용을 적어보고자 합니다. 어떤 문제점이 있었고 그 문제를 어떻게 수정(보완)하여 도면이 작성 되었는지를 기록해보고, 한번더 기억하고, 생각해봄으로서, 추후 있을지도 모를 동일한 오류를 미연에 방지하는 의미를 담고자 합니다. 그 1탄으로 토목 흙막이를 위한 포스트 파일과 - 건축 구조보간의 간섭에 따른 도면 오류입니다. 공정상 토목 흙막이가 먼저 진행되고, 그 후 구조가 시공되는데 문제는 토목 공사 중에 구조변경이 있을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에 토목의 흙막이 도면과 변경되는 구조도면을 서로 겹쳐보고, 간섭 유무를 확인하여야 추후 시공중 두 부재들 간의 간섭으로 인한 도면의 재수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

건축/실무 2013.09.24